"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는 무엇일까?" 이런 궁금한 질문이 있을 때 검색엔진에 가서 물어보신 적이 있을텐데요, 요즘엔 특히나 놀랍도록 정확한 답변을 주기도 합니다. 어떻게 가능한 걸까요? 질의 응답(Question Answering)은 다양한 종류의 질문에 대해 대답하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연구 분야입니다. 그 중에서도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은 주어지는 지문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사전에 구축되어있는 knowledge resource 에서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문서를 찾는 과정이 추가가 되어야하기에 더 어려운 문제입니다.
본 대회에서 우리가 만들 모델은 두 stag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질문에 관련된 문서를 찾아주는 "retriever"단계이고요, 다음으로는 관련된 문서를 읽고 간결한 답변을 내보내 주는 "reader" 단계입니다. 이 두 단계를 각각 만든 뒤 둘을 이으면, 어려운 질문을 던져도 척척 답변을 해주는 질의응답 시스템을 여러분 손으로 직접 만들게 됩니다. 더 정확한 답변을 내주는 모델을 만드는 팀이 우승을 하게 됩니다.
평가방법은 두가지입니다.
- Exact Match (EM): 모델의 예측과, 실제 답이 정확하게 일치할 때만 점수가 주어집니다. 즉 각 질문마다 0점 아니면 1점입니다. 다만 띄어쓰기나 "."과 같은 문자가 포함돼 있다고 오답으로 처리되면 억울하겠죠? 이런 것은 지우고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답이 하나가 아닐 수 있는데, 이런 경우는 하나라도 일치하면 정답으로 간주합니다.
- F1 Score: EM과 다르게 부분 점수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정답은 "Barack Obama"지만 예측이 "Obama"일 때, EM의 경우 0점을 받겠지만 F1 Score는 겹치는 단어도 있는 것을 고려해 부분 점수를 줍니다.
EM 기준으로 랭킹을 산정하고, F1은 참고용으로만 활용합니다.
다음은 제공하는 데이터셋의 구성을 보여줍니다.
MRC 데이터의 경우, Hugging Face에서 제공하는 datasets library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해당 폴더의 directory를 dataset_name 으로 저장한 후, 아래와 같이 불러오기가 가능합니다.
# train_dataset을 불러오고 싶은 경우
from datasets import load_from_disk
dataset = load_from_disk("./data/train_dataset/")
print(dataset)
Retrieval 과정에서 사용하는 문서 집합(corpus)은 ./data/wikipedia_documents.json 으로 저장되어있습니다. 약 5만 7천개의 unique 한 문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평가 데이터는 학습데이터와 대부분 동일하나, 리더보드용인 test_dataset 의 데이터에는 id 와 question 만 주어집니다. 즉 Open Domain QA 전용이며, 답을 내기 위해서 ./data/wikipedia_documents.json 을 활용합니다. 데이터셋은 편의성을 위해 Huggingface 에서 제공하는 datasets를 이용하여 pyarrow 형식의 데이터로 저장되어있습니다. 다음은 데이터셋의 구성입니다.
./data/ # 전체 데이터
./train_dataset/ # 학습에 사용할 데이터셋. train 과 validation 으로 구성
./test_dataset/ # 제출에 사용될 데이터셋. validation 으로 구성
./dummy_dataset/ # 모델이 작동하는지 테스트 할때 사용하는 dummy 데이터셋. train 과 validation 으로 구성
./wikipedia_documents.json # 위키피디아 문서 집합. retrieval을 위해 쓰이는 corpus.
- id: 질문의 고유 id
- question: 질문
- answers: 답변에 대한 정보. 하나의 질문에 하나의 답변만 존재함
- answer_start : 답변의 시작 위치
- text: 답변의 텍스트
- context: 답변이 포함된 문서
- title: 문서의 제목
- document_id: 문서의 고유 id
평가 데이터는 학습데이터와 대부분 동일하나, 리더보드용인 testdataset 의 데이터에는 id 와 question 만 주어집니다. 즉 Open Domain QA 전용이며, 답을 내기 위해서 ./data/wikipediadocuments.json 을 활용합니다. 대회가 종료된 후에는 한 번도 보지 못했던 테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종 등수가 결정됩니다.
$> tree -d
.
├── Dense Passage Retriever.ipynb
├── Elasticsearch.ipynb
├── Ensemble.ipynb
├── Exploratory Data Analysis.ipynb
└── Generation-based MRC.ipynb
- Public : LB 점수 EM: 66.25%, F1: 78.70%, 2등
- Private : LB 점수 EM: 64.17%, F1: 74.88%, 2등
- EDA를 통해서 해당 Competition에서는 Retrieval가 중요하다고 판단.
- 따라서 리더보드에 제출했을 때, Retrieval의 성능 만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성능을 보장하는 MRC가 필요.
- 이에 적합한 PORORO의 MRC를 선택하여 Retrieval 성능을 빠르게 실험 그리고 제출 기회를 최대한으로 활용.
-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팀 공용 Retrieval Setting 및 팀원의 모델 학습에 도움.
- 제공된 Train dataset과 Validation dataset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 전부를 Validation으로 사용.
- 해당 세팅은 최종 버전이며, 이외에도 시도해볼 수 있는 모든 세팅에 대해서 테스트를 진행.
- 해당 세팅 과정에서 본의 아니게 엘라스틱 서치에 대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음. (가이드북 정독, 관련 서적 정독)
- 세팅 이외에도 쿼리를 어떻게 주느냐에 따라서 엘라스틱 서치의 성능이 천차만별.
- 여러 번의 시도 끝에, NER을 통해서 선정된 단어에 가중치를 방식으로 최종 결정.
- PORORO의 MRC를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존재
- 문제점 1. Logit(Score)를 출력하지 않음.
- 문제점 2. Top-1의 Answer 만을 출력.
- 소스 코드를 수정하여 위 두가지 문제를 해결.
- 해당 해결 과정에서 나온 코드를 PORORO에 PR할 계획.
- Rule base Hard Voting
- 단순하게 Hard Voting을 하기에는 후처리 방법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달라짐.
- 따라서 후처리 뿐만 아니라 Rule Base 기반의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앙상블을 시도함.
- 또한, 각기 다른 모델들의 장점을 잘 살릴 수 있도록 앙상블을 설계.
- 해당 방법 덕분에 마지막 날 6% 이상의 성능을 상승.
- rank_bm25 라이브러리에 미구현 되어 있는 BM25-Adpt와 BM25T를 구현하려고 했으나, 공식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실패.
- Hugging Face와 Haystack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한국어 Dense Passage Retrieval을 시도했으나 실패.
- 양질의 Train 데이터 부족
- 높은 배치사이즈를 위한 컴퓨팅 파워 부족
- 한국어로 pretrain된 모델의 부재
- KoBART를 기반으로 하는 Generation-based MRC를 구현
- 후처리를 안해도 된다는 장점이 존재
- 단, Extraction-based MRC의 성능을 이기지 못함
- 엘라스틱 서치의 다양한 세팅을 통한 Retrieval ensemble
- Doc2Vec Embedding을 이용한 Retrieval
- Bert Embedding을 이용한 Retrieval
- Pyserini 라이브러리 사용
- 개인으로 진행하는 competition과 팀으로 진행하는 competition의 전략은 달라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 특히, 팀으로 진행하는 competition의 경우 더욱 더 많은 실험을 해볼 수 있기 때문에, 정보 공유와 취합 그리고 정리가 중요합니다.
- 그리고 대회 막바지 서로 다른 모델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떻게 앙상블을 할지 미리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 끝으로, 팀을 위해 개인이 어디까지 희생해야 하는지 그리고 개인의 이득을 위해서 어디까지 팀을 이용해야 하는지 그 밸런스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 이를 위해서는 확실한 리더의 존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피어세션을 하면서 가장 좋았던 부분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 첫째, 다른 팀원들의 실험 내용을 참고할 수 있었습니다.
- 둘째, 제 실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스스로 한 번 정리한다는 것입니다.
- 저는 이번 스테이지에서 1등을 하고 싶었습니다.
- 하지만 저희 팀은 졌고 2등으로 대회를 마무리했습니다.
- 1등을 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던 것 만큼, 가장 아쉬운 부분입니다.
- 그냥. 1등 할 생각입니다. 다른 것은 잘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