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챕터 123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hyesungoh committed Oct 13, 2024
1 parent 582b55c commit b7ed499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3 changed files with 52 additions and 0 deletions.
18 changes: 18 additions & 0 deletions 챕터_1/오혜성.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8 @@
# 옮긴이의 말

평소에 무의식적으로 작성하던 코드 패턴이 무슨 이름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해당 패턴이 가진 특징은 무엇인지 명확히 알 수 있게 해주었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위해 '이렇게 코드를 짰습니다'라고 두루뭉술하게 표현하는 대신 '이러한 패턴을 사용했습니다'라는 말로 압축하여 간결하고 확실하게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내용이었습니다.

> 공감도 되며, 얻고 싶은 내용이랄까낭
# 디자인 패턴 소개

- 디자인 패턴은 코드를 체계화하기 위한 공통적인 패턴을 제공해 코드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고, 다른 개발자와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해줍니다

## 패턴이란 무엇인가

- 검증되었음
- 앞서간 개발자들의 경험과 통찰의 산물...
- 쉽게 재사용
- 알아보기 쉽다
18 changes: 18 additions & 0 deletions 챕터_2/오혜성.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8 @@
# 패턴성 검증, 프로토 패턴 그리고 세 가지 법칙

- 패턴 커뮤니티도 기본적으로 포괄적이고 엄격한 평가 없이 패턴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가급적 지양함

> 그치만 현실 세계에서는 생각보다 '패턴'이라는 말이 남용되고 있는 것 같다고도 느낀달까나요..
`프로토 패턴`
- 아직 패턴성을 검증을 모두 통과하지 않은 미숙한 패턴

## 세 가지 법칙

좋은 패턴이 되기 위해서는 반복되는 현상, 문제에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야 함

반복성을 입증하려면 세 가지 법칙이라고 불리는 다음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함

- 목적 적합성 (좋은 패턴은 어떻게 판단?)
- 유용성 (좋은 패턴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
- 적용 가능성 (넓은 적용 범위)
16 changes: 16 additions & 0 deletions 챕터_3/오혜성.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6 @@
# 패턴 구조화 및 작성

패턴의 작성자는 패턴의 설계, 구현 방법 및 족적을 설명해야 함

- 컨텍스트: 패턴이 적용되는 상황
- 집중 목표: 패턴을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하는 목표
- 구성: 제시된 상황과 고려해야 하는 점들을 해결하는 구성

## 모범 패턴

패턴의 구조와 만들어진 목적을 이해하면 해당 패턴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더 깊에 이해할 수 있음

그래서 좋은 패턴은 사용자에게 충분한 자료를 제공해야 함

- 패턴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다고 해서 패턴을 쉽게 알아볼 수 없음, 작성한 코드가 정해진 패턴을 따르는 것인지 / 우연하게도 닮아있는 것인지 알기란 힘듦

0 comments on commit b7ed499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