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실시간 통신 분석 프로젝트 ( Polling, Long Polling, SSE, WebSocket, STOMP )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jinjoo-lab/Real-Time-Communication-Test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24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image

Velog로 보기

실시간 통신 분석 프로젝트 - 이론

실시간 통신 분석 프로젝트 - Spring 구현 코드

실시간 통신 분석 프로젝트 - 테스트 분석

시나리오

테스트 시나리오를 구성할 때 몇가지 상황을 고려하였다.

  • 서비스가 시작되고 사용자들이 진입하는 상황 : 정상 진입 확인
  • 사용자 최고치(최대 처리량)에서 서비스 요청 상황 : 최대 부하 확인
  • 사용자들의 요청이 완료되고 사용자 수가 줄어드면서의 상황 : 회복성 확인

총 테스트 시간을 1분으로 설정했고 위 3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3가지 구간으로 나눠서 시나리오를 구성했다.

테스트 시나리오

  1. 서비스가 시작되고 나서 사용자 수가 유입되는 시간을 20초로 설정하였다.
  2. 20초 후에는 많은 사용자가 유입되서 통신을 요청하도록 설정하였다.
    • 1000 , 5000 , 10000명의 최대 사용자를 기준으로 테스트하였다.
  3. 회복성을 보기 위해 나머지 10초 동안에는 유입되는 사용자를 0으로 설정하여 앞서 설정한 사용자들이 점진적으로 통신을 종료하게끔 작성했다.

image

분석

최고 접속자의 수를 1000, 5000, 10000명으로 설정하고 각 실시간 통신에 대한 시나리오 테스트를 수행했다. 테스트 결과를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Polling VS Long Polling


우선 Polling과 Long Polling을 10000명의 사용자 지표에 따른 지표를 바탕으로 비교해보았다.

iteration_duration / interations

iteration_duration: 한 번의 반복(iteration)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것 interations : 테스트 시간 동안 반복된 횟수 (전체 횟수 , 초당 횟수)

Polling : 
	iteration_duration.........: p(90)=4.47s p(95)=4.94s
  iterations.................: 63081   770.071737/s

Long Polling : 
	iteration_duration.............: p(90)=17.07s p(95)=19.92s  
  iterations.....................: 19122  214.396293/s

위 지표를 보면 Polling이 총 수행 횟수가 더 많고 한번의 주기 시간은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오지 않더라도 API를 응답하는 Polling의 특성 상 호출 횟수가 더 많은 것이다.
  • 반면 데이터가 오기 까지 연결을 지속하는 Long Polling은 평균 수행 시간이 더 긴 것을 알 수 있는데 Long Polling 자체에 설정한 TimeOut 값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것이다.

Heap Used

  • Polling

image

  • Long Polling

image

다음은 Spring 자체의 Heap 사용량에 대한 비교이다. 지표를 분석해보면 Long Polling이 Polling 방식에 비해 Heap 사용량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 이에 대한 이유는 Long Polling 방식을 구현하는데 사용한 DeferredResult 때문이다.
  • Polling 방식의 경우에는 결과값을 반환하고 더 이상 서버에서 유지하지 않는다. 하지만 Long Polling의 방식에는 DeferredResult 객체에 setResult() 메서드를 통한 값이 삽입되기 전까지 데이터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Heap 사용량이 더 많을 수밖에 없다.

Polling VS WebSocket


두번째로 Polling 방식과 WebSocket 방식의 비교이다. 두 방식에 대해 k6에서 표로 제공하는 지표는 차이가 있다. 통신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지표에 대한 비교는 어려웠다. 그래서 prometheus의 지표를 중심으로 비교했다.

  • 두 방식에 대해 보통적으로 말하는 비교라면 WebSocket이 connection의 횟수가 적어 자원 사용량이 적을 것이라는 것이다 !!!!!!
  • 자원 사용량을 중심으로 비교해보겠다.

System CPU Usage / Process CPU Usage

System : 운영 체제 전체에서 모든 프로세스가 차지하는 CPU 사용량 Process : 특정 프로세스가 차지하는 CPU 사용량

  • Polling

image

  • WebSocket

image

WebSocket이 평균적으로 Polling 방식과 비교하여 CPU 사용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 매번 connection을 생성하고 종료하는 과정이 삭제되어 전체적인 CPU 사용량에도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다.

Heap Use

  • Polling

image

  • WebSocket

image

하지만 Spring 자체의 Heap 사용량은 WebSocket이 더 높게 측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는 WebSocketSession 객체 때문이다. WebSocket Session을 계속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Heap에 존재하게 되므로 커넥션을 유지하지 않는 ShortPolling 보다 WebSocket이 Heap 사용량이 더 많다.

WebSocket VS STOMP


마지막으로 WebSocket과 STOMP에 대한 비교이다. k6상에서 두 방식에 대해 동일한 지표를 제공한다. 각 지표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반복 작업: iteration_durationiterations는 테스트 반복 주기와 성능
  • 사용자 부하: vusvus_max는 가상의 사용자 부하 (테스트 상에서는 동일)
  • WebSocket 성능: ws_connectingws_session_duration은 WebSocket 연결과 세션의 성능
  • 메시지 처리: ws_msgs_receivedws_msgs_sent는 WebSocket을 통해 처리된 메시지 수

ws_msgs_sent, ws_msgs_received, iterations

  • WebSocket

    ws_msgs_received......: 1336749 14836.253751/s
    ws_msgs_sent..........: 8705    96.614689/s
    iterations............: 136     1.509431/s
    
  • STOMP

    ws_msgs_received......: 3409118 37873.839154/s
    ws_msgs_sent..........: 24696   274.361
    iterations............: 878     9.754204/s
    

STOMP가 WebSocket과 비교해서 3가지 지표에서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는 동일한 테스트 시간동안 더 많은 메시지를 처리한 것이고 STOMP가 WebSocket과 비교하여 처리량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에 대해 메시지 브로커를 통한 처리가 큰 이유라고 생각한다. 그룹 별로 나눠지 세션에 메시지를 분배하고 통신하는 과정을 WebSocket을 사용할 때는 사용자가 직접 구현해줬고 이에 대한 성능이 최적화되어 있는 메시지 브로커보다는 효율이 떨어진다 판단했다.

ws_sessions, ws_connecting

WebSocket :
	ws_connecting.........: avg=11.86s min=590.66µs med=3.78s  max=43.12s
	ws_sessions...........: 8771    97.347207/s
Stomp : 
	ws_connecting.........: avg=5.54s  min=434.79µs med=354.49ms max=43.78s
	ws_sessions...........: 9844    109.362619/s

평균적으로 STOMP가 WebSocket에 비해 연결 설정에 더 적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주의 깊게 본 지표는 ws_sessions이다. 해당 지표는 테스트가 수행되는 동안 성공적으로 열린 websocket session 수이다.

  • 해당 지표에서 10000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STOMP가 더 많은 websocket session을 포함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부하에 더 강하다는 것이다.

About

실시간 통신 분석 프로젝트 ( Polling, Long Polling, SSE, WebSocket, STOMP )

Topics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