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te : 2021.02.28(토)
- Time : 10분
- 김진영이 듣도 못한 사람의 명단과,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이 주어질 때, 듣도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첫째 줄에 듣도 못한 사람의 수 N, 보도 못한 사람의 수 M이 주어진다. 이어서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듣도 못한 사람의 이름과, N+2째 줄부터 보도 못한 사람의 이름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이름은 띄어쓰기 없이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지며, 그 길이는 20 이하이다. N, M은 5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듣도 못한 사람의 명단에는 중복되는 이름이 없으며,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도 마찬가지이다.
- 듣보잡의 수와 그 명단을 사전순으로 출력한다.
arr = [input() for _ in range(N)]
arr2 = [input() for _ in range(M)]
answer = list(set(arr) & set(arr2))
# answer = list(set(arr).intersection(set(arr2))) 와 같다.
print(len(answer))
for i in sorted(answer):
print(i)
: 먼저 배열 두개를 입력받은 후에 두개의 배열에서 겹치는 부분, 즉 교집합
을 찾아줘야한다. 이것을 위해 & 연산
을 활용했다. 혹은 intersection 함수를 사용해줘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