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te : 2020.09.12(토)
- Time : 40분
- 카카오에 신입 개발자로 입사한 콘은 선배 개발자로부터 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하라는 업무 과제를 받았습니다. 소스를 컴파일하여 로그를 보니 대부분 소스 코드 내 작성된 괄호가 개수는 맞지만 짝이 맞지 않은 형태로 작성되어 오류가 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정해야 할 소스 파일이 너무 많아서 고민하던 콘은 소스 코드에 작성된 모든 괄호를 뽑아서 올바른 순서대로 배치된 괄호 문자열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려고 합니다.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p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주어진 알고리즘을 수행해 올바른 괄호 문자열로 변환한 결과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 입력이 빈 문자열인 경우,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 문자열 w를 두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단, u는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어야 하며, v는 빈 문자열이 될 수 있습니다.
-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 이라면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다시 수행합니다.
3-1.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u에 이어 붙인 후 반환합니다.
-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라면 아래 과정을 수행합니다.
4-1. 빈 문자열에 첫 번째 문자로 '('를 붙입니다.
4-2.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
4-3. ')'를 다시 붙입니다.
4-4. u의 첫 번째와 마지막 문자를 제거하고, 나머지 문자열의 괄호 방향을 뒤집어서 뒤에 붙입니다.
4-5. 생성된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 문자열 w를 두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단, u는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어야 하며, v는 빈 문자열이 될 수 있습니다.
for i in range(0,len(p),1) :
if p[i] == "(" :
rights += 1
else :
lefts += 1
if rights == lefts : #왼쪽 괄호와 오른쪽 괄호의 갯수가 같으면
u = p[0:i+1] #u는 갯수를 센 위치까지로 분리해주고
v = p[i+1:] #v는 센 위치 다음부터 끝까지 분라해준다.
-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 이라면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다시 수행합니다.
3-1.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u에 이어 붙인 후 반환합니다.
if right(u) == True :
#right함수는 프로그래머스 - 올바른괄호 에서 했던 방식을 채용해서 괄호가 올바른 지 판단하는 함수를 만들었다.
answer += (u+solution(v))
#v는 재귀함수를 통해 1단계부터 수행하도록 하고 그 앞에 u를 붙여줬다.
return answer
-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라면 아래 과정을 수행합니다.
else : #올바른 괄호를 찾는 함수에서 False 가 나왔다면
answer += "("+solution(v)+")"+flip(u[1:len(u)-1])
#앞뒤에는 ()를 붙여주고 v는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실행한 결과가 나와야하기 때문에 다시 solution함수를 재귀함수로 사용했다.
#그리고 u의 첫번째와 마지막 괄호를 제외해야하기 때문에 슬라이싱으로 잘라주고 그것을 flip함수에 넣었다.
return answer
def flip(i): #괄호를 뒤집어주는 함수를 제작했다.
answer = ''
for j in i :
if j == "(" :
answer += ")"
else :
answer += "("
return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