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60e6cce

Browse files
committed
week3 내용 추가
1 parent 0663fe9 commit 60e6cce

File tree

2 files changed

+68
-0
lines changed

2 files changed

+68
-0
lines changed
228 KB
Loading

week3/sangwon/sangwon.md

Lines changed: 68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68 @@
1+
# Runnable을 사용해서 스레드 생성하기
2+
3+
실무에서는 보통 Runnable을 사용해서 스레드를 관리한다.
4+
5+
Thread 상속 보다는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6+
7+
- Thread는 단일 상속만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클래스를 상속 받고 있으면 Thread를 상속 받을 수 없다
8+
- 추가 extends 불가
9+
10+
Runnable 인터페이스 상속
11+
12+
- 상속이 자유롭다.
13+
- 스레드와 실행할 작업을 분리해서 코드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14+
- 여러 스레드가 동일한 Runnable을 공유할 수 있어서 자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15+
- 단 약간 코드가 복잡해 질 수 있다
16+
17+
---
18+
19+
# EC2 Https로 배포하기
20+
21+
### 필요한 것
22+
23+
- vpc
24+
- ec2
25+
- target group
26+
- application load balancer
27+
- aws certificate manager
28+
- route 53
29+
- domain
30+
31+
### 가비아 도메인 구매
32+
33+
- 도메인을 하나 구입해 준다.
34+
35+
### 도메인 등록
36+
37+
- 구매한 도메인에 대해 호스팅 영역을 추가해 준다
38+
- 도메인을 입력 후 발급되는 네임 서버를 가비아의 도메인 네임 서버에 등록한다
39+
40+
### 도메인 인증서 발급(aws certificate manager)
41+
42+
- ACM 에서 구매한 도메인에 대해 인증을 받는다.
43+
- \*.example.com 형식으로 인증서 발급을 요청한다 (sub domain으로 사용할 경우)
44+
- Route53에 record를 추가해준다
45+
- 좀만 기다리면 인증서가 발급된다
46+
47+
### EC2 생성
48+
49+
- ec2를 생성한다
50+
- 이번 구성에서는 EC2 하나만 사용한다
51+
52+
### Target Group 생성
53+
54+
- EC2에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이 들어가는데 ALB를 통해 서버를 호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
55+
- EC2 안에서 서버를 호출 할 수 있는 PORT를 지정하고 서버 health check를 할 수 있도록 health check 경로를 만들어 줘야 한다.
56+
- spring boot를 사용하기 때문에 actuator를 사용해서 health check api를 열어준다
57+
58+
### Application Load Balancer 생성
59+
60+
- ALB를 생성한다
61+
- 도메인 인증서를 발급해 뒀으니 443 port로 listener rule을 설정한다
62+
- 생성한 target group을 지정한다
63+
64+
### Route 53 설정하기
65+
66+
- sub domain을 추가하고 record type을 지정
67+
- route traffic을 EC2 가 있는 region에 ALB를 지정한다
68+
- route policy는 Simple routing으로 설정한다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