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249 lines (187 loc) · 11.3 KB

NLP CNN 감정 분류.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249 lines (187 loc) · 11.3 KB

이번엔 조금 오래 걸렸다. 데이터 전처리와 메모리 부족 문제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데 계속 고민하다가 결국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로 했다

  1. #감정_분류
  2. #CNN이란
  3. #CNN기반_감정_분류
  4. #keras_라이브러리를_이용한_시스템_구축
  5. #추가

1. #감정_분류

이에 대한 것들은 이전에 알아봤으니 잘 모르겠다면 이전 문서를 확인하자 [[NLP 나이브 베이즈 감정 분류]]


2. #CNN이란

CNN이란 Convolutional Neural Network(합성곱 신경망)의 약자로 시각 피질의 정보처리에서 아이디어를 따와 일반적으로 2차원 형태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많이 쓰이는 인공 신경망이다.

이러한 CNN은 기존 DNN(Deep Neural Network)에서 2차원 데이터를(대표적으로 이미지 데이터가 있다) 1차원 형태로 만들어(이러한 과정을 Flatten이라고 한다) 처리할 경우 데이터의 공간적 정보가 손실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CNN은 하나하나의 정보를 살펴보지 않고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살핀다는 특징이 있으며 공간적 특징을 살려 한 데이터와 주변 데이터의 연관성을 살릴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CNN을 이해하기 위해선 아래의 용어들을 먼저 알아야 한다

Convolution Stride Pooling

하나씩 알아보자

Convolution

한국어로 하면 합성곱이다. 시각 피질에서는 2차원의 정보를 전부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일부만 받아들여서 처리하는데 이를 컴퓨터에서는 filter를 이용해 구현하였다

CNN에서 2차원 데이터는 행렬로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를 행렬을 통해 나타내보면 아래와 같다.

D = $\begin{pmatrix}a&b&c\d&e&f\g&h&i \end{pmatrix}$ 를 데이터, F = $\begin{pmatrix}x&y\z&w\ \end{pmatrix}$ 를 필터라고 하고, 한 칸씩 stride(이동)하며 Convolution 연산을 한다고 하면 $D'$ = $\begin{pmatrix}ax+by+dz+ew&bx+cy+ez+fw\dx+ey+gz+wi&ex+fy+hz+wi\end{pmatrix}$ 가 된다

예를 들어 D = $\begin{pmatrix}5&2&6&9\2&4&7&1\1&5&2&8\2&4&3&8 \end{pmatrix}$, F = $\begin{pmatrix}1&0\0&1\ \end{pmatrix}$ 에서 왼쪽 위부터 한 칸씩 stride(이동)하면서 Convolution 연산을 실행해주면 $D'$ = $\begin{pmatrix}9&9&7\7&6&14\5&8&10 \end{pmatrix}$ 이 된다

다만 이러한 과정을 보면 알 수 있듯이 4x4 데이터가 3x3 데이터가 된 것처럼 Output 데이터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손실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Zero padding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마지막에 알아보자

Stride

필터가 얼마나 움직일지를 말한다. 필터가 한번 움직일 때 Stride의 크기만큼 움직이기 때문에 Output 데이터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도 한다

Pooling

Pooling의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Max-Pooling과 Average-Pooling 두 가지 방법이 있다.

Max-Pooling: 일정 구역의 최댓값을 해당 구역의 대푯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Average-Pooling: 일정 구역에서의 평균값을 해당 구역의 대푯값으로 설정하는 방법

이러한 Pooling 기법은 대부분 Overfitt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쓰인다. 하지만 데이터의 크기를 줄여 그만큼 데이터를 파괴하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사용하지는 말자

Zero padding

간단하게 생각해서 데이터 주위를 0으로 둘러싸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이것도 몇 번 감싸는지는 filter와 stride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상황마다 몇 번 감싸야 할지 생각해야 할 수 있다.

D = $\begin{pmatrix}5&2&9\2&4&1\1&5&2 \end{pmatrix}$ 에 Zero padding을 가하면 $D'$ = $\begin{pmatrix}0&0&0&0&0\0&5&2&9&0\0&2&4&1&0\0&1&5&2&0\0&0&0&0&0 \end{pmatrix}$ 과 같이 된다. 이후 Convolution연산을 진행해도 기존 3x3 행렬에서 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3. #CNN기반_감정_분류

사실 여기까지 읽었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의문을 가질 것이다.

주로 이미지 데이터 분석에 쓰인다는데 어떻게 텍스트 분석에 사용한다는거지?

하지만 이 논문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근접한 언어는 같은 감정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데이터에서 주변 데이터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CNN이 강점을 지닐 수도 있으며, 실제로도 더 강력했다는 논문이 있다.

이제 실전으로 넘어가자 이번에는 몇개의 데이터로 실험하는 것이 아니라 IMDB 데이터셋의 영화 리뷰 데이터셋을 이용할 것이다


4. #keras_라이브러리를_이용한_시스템_구축

우선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자, keras는 tensorflow 라이브러리에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tensorflow를 설치하면 된다

pip install tensorflow

gpu를 쓰고싶다면 아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자(다만 일부 파이썬 버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3.9.x 버전을 사용하는걸 추천한다.)

pip install tensorflow-gpu
pip install numpy==1.23.5

또한 일부 numpy버전에서는 오류가 있어 다른 버전의 numpy 라이브러리를 받아야 오류가 안난다

마지막으로 똑같이 받아도 오류가 난다면 anaconda를 사용해보자

import numpy as np
from tensorflow.keras import datasets, preprocessing, losses

일단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가져오자 datasets를 이용해 imdb데이터를 가져오고, numpy, preprocessing을 이용해 데이터 전처리를 진행할 것이다

imdb = datasets.imdb
num_words = 1000

(train_datas, train_labels),(test_datas, test_labels) = imdb.load_data(num_words=num_words)
word_index = imdb.get_word_index()

다음으로 데이터를 가져온 후 train과 test용으로 나눠준다. 또 로컬로 학습을 진행할때 메모리가 부족하므로 num_words = 1000를 통해 데이터에 사용된 단어의 개수를 제한한다. (코랩을 사용하거나 메모리가 넉넉한 경우는 데이터 크기를 늘려줘도 좋다)

이때 word_index에는 원본 데이터셋에서 사용된 모든 단어가 들어있으므로 사용되지 않은 단어는 이후 지워줄 것이다

datalen = 100
train_datas = train_datas[:datalen]
train_labels = train_labels[:datalen]
test_datas = test_datas[:datalen]
test_labels = test_labels[:datalen]

아까와 같은 이유로 사용할 데이터의 크기도 줄여줄 것이다

used = set()
for a in train_datas:
    for b in a:
        used.add(b)
for a in test_datas:
    for b in a:
        used.add(b)
def is_used(pair):
    key, num = pair
    if num in used: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word_index = dict(filter(is_used, word_index.items()))

train_datas와 test_datas에서 사용된 단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들은 word_index에서 제외해준다.

word_index["<PAD>"] = 0
word_index["<START>"] = 1
word_index["<UNK>"] = 2
word_index["<UNUSED>"] = 3

이후 전처리에서 사용할 <PAD>와<START> 토큰을 추가해주고 알 수 없는 단어(word_index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에 사용될 <UNK>토큰도 추가해준다.

원래는 word_index에 없는 단어는 일일이 필터링 해줘야 하지만 이 데이터셋에선 미리 필터링 된 상태로 제공되었다

max([len(i) for i in train_datas]), max([len(i) for i in test_datas]), len(train_datas[0])

이후 padding을 위해 각 세트의 문장 최대 길이를 구하고 (최대 길이가 888이 나왔다)

train_datas = preprocessing.sequence.pad_sequences(train_datas, value=word_index['<PAD>'], padding='post', maxlen=888)

test_datas = preprocessing.sequence.pad_sequences(test_datas, value=word_index['<PAD>'], padding='post', maxlen=888)

그 정보를 바탕으로 padding을 해준다.

def one(index):
    a = np.zeros((999,1), dtype=int)
    print(a)
    a[index-1] = np.array([1])
    return a
    
index_onehot = {i:one(i) for i in index_word.keys()}

그 다음 1차원 데이터인 문장을 2차원 형태로 만들기 위해 one hot encoding을 진행하기 위해 dictionaty를 만든다. 각 인덱스를 0과 1로 구분함으로써 인덱스의 크기의 차이가 학습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할 것이다. 이에 대해선 나중에 다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다만 이때 인코딩 후를 보면 문장의 데이터가 3차원인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conv2D레이어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때 각 픽셀에서 RGB데이터까지 포함하여 3차원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한 차원을 늘려준 것이다

def encode_one(index):
    return np.array([index_onehot[i] for i in index])

이후 아까 만든 dictionary를 이용한 encoder를 만든다

train = [] # 학습 데이터의 x에 해당한다
for i in train_datas:
    train.append(encode_one(i))
    
train = np.array(train)

test = [] # 검증 데이터의 x에 해당한다
for i in test_datas:
    test.append(encode_one(i))

test = np.array(test)

label = np.array([[i] for i in train_labels]) # 학습 데이터의 y에 해당한다
tlabel = np.array([[i] for i in test_labels]) # 검증 데이터의 y에 해당한다

그리고 train set과 test set에 전부 one hot encode 처리를 해주자

from tensorflow.keras.layers import Conv2D,MaxPooling2D,Dense,Dropout,Flatten
from tensorflow.keras.models import Sequential


model = Sequential()
model.add(Conv2D(100, (5, 3), input_shape=(888, 999, 1), activation='relu'))
model.add(MaxPooling2D(pool_size=(2, 2)))
model.add(Flatten())
model.add(Dense(120, activation='relu'))
model.add(Dense(1, activation='sigmoid'))
  
model.compile(optimizer='rmsprop', loss=losses.BinaryCrossentropy(), metrics=['accuracy'])

이제 모델을 구성해보자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conv2D의 input_shape는 한 문장의 차원과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에는 (5, 3)크기의 filter와 (2, 2)크기의 maxpooling을 사용하였다. (stride는 기본적으로 1이다.)

model.fit(train, label, batch_size=32, epochs=2)

이후 훈련을 진행하고

model.evaluate(test, tlabel)

모델을 평가해본다.

훈련 결과:
4/4 [==============================] - 29s 8s/step - loss: 0.1183 - accuracy: 0.9900
평가 결과:
4/4 [==============================] - 13s 603ms/step - loss: 0.8267 - accuracy: 0.5300

데이터가 적어서 그런지 4번만 학습해도 과적합이 일어나므로 조심하자

5. #추가

기존에 con2D는 2차원 데이터를 요구한다고 생각했었는데 3차원을 요구하여 이부분을 깨닫는것까지가 조금 오래 걸렸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강제적으로 2차원 데이터를 3차원으로 늘린 부분에 대해서 다른 방법은 없었는지에 대해 더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 마지막으로 실제 사용을 위해서는 입력 문장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UNK>토큰사용에 대해서 구상을 조금 해봐야한다.

다음번에는 RNN을 이용한 감정 분류를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