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e263ef4

Browse files
authored
[26주차 2] Flutter Programming: ch06. 기본 위젯 알아보기 (#242)
* Create ch06.md * Update 학습 계획.md
1 parent 45fee28 commit e263ef4

File tree

2 files changed

+254
-1
lines changed

2 files changed

+254
-1
lines changed
Lines changed: 253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253 @@
1+
# 06. 기본 위젯 알아보기
2+
3+
학습 목표
4+
5+
- 플러터는 화면에 그려지는 모든 요소가 위젯으로 구성되어 있음.
6+
- 플러터 프레임워크는 수십 가지 기본 위젯을 제공하며 앱 개발자가 직접 위젯을 만들 수도 있음.
7+
- 자주 사용되는 위젯을 텍스트, 제스처, 디자인, 배치 관련 위젯으로 분류해서 학습.
8+
9+
## 6.1. 위젯 소개
10+
11+
> Everything is a Widget
12+
>
13+
- 구글에서 플러터를 소개하는 문구
14+
- 플러터에서 화면에 보여지는 UI와 관련된 모든 요소는 위젯으로 구성되어 있음.
15+
- 위젯은 현재 주어진 상태(state or data)를 기반으로 어떤 UI를 구현할지를 정의함.
16+
- 위젯의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 사항에 알맞게 변경된 UI를 화면에 다시 그려줌.
17+
- 이때 플러터 프레임워크는 기존 상태의 위젯과 새로운 상태의 위젯을 비교해서 UI 변화를 반영할 때 필요한 최소한의 변경 사항을 산출해서 화면을 그려냄.
18+
- 결과적으로 플러터는 최소한의 리소스를 이용해서 UI 변경을 이끌어 낼 수 있음.
19+
- 위젯은 자식을 하나만 갖는 위젯과 여럿 갖는 위젯으로 나뉨.
20+
- 자식을 하나만 갖는 대표적인 위젯들은 다음과 같으며 대체로 child 매개변수를 입력 받음
21+
- Container 위젯: 자식을 담는 컨테이너 역할을 함. 다만 단순하게 자식을 담는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 배경색, 너비와 높이, 테두리 등의 디자인을 지정할 수 있음.
22+
- GestureDecorator 위젯: 플러터에서 제공하는 제스처 기능을 자식 위젯에서 인식하는 위젯. 탭이나 드래그 그리고 더블 클릭 같은 제스처 기능이 자식 위젯이 인식됐을 때 함수를 실행할 수 있음.
23+
- SizedBox 위젯: 높이와 너비를 지정하는 위젯. Container 위젯과 다르게 디자인적 요소는 적용할 수 없고, const 생성자로 선언할 수 있어서 퍼포먼스 측면에서 더 효율적.
24+
- 다수의 자식을 입력할 수 있는 위젯은 children 매개변수를 입력 받으며 리스트로 여러 위젯을 입력할 수 있음.
25+
- Column 위젯: children 매개변수에 입력된 모든 위젯들을 세로로 배치.
26+
- Row 위젯: children 매개변수에 입력된 모든 위젯들을 가로로 배치.
27+
- ListView 위젯: 리스트를 구현할 때 사용. 마찬가지로 children 매개변수에 다수의 위젯을 입력할 수 있으며입력된 위젯이 화면을 벗어나게 되면 스크롤이 가능해짐.
28+
29+
### 6.1.1. children과 child의 차이점
30+
31+
- 플러터는 위젯 아래에 계속 위젯이 입력되는 형태로 ‘위젯 트리’를 구성하여 UI를 제작함.
32+
- child 매개변수와 children 매개변수는 위젯에 하위 위젯을 추가할 때 사용.
33+
- 대부분 위젯은 child 또는 children 매개변수를 하나만 제공 (child와 children 매개변수를 동시에 입력받는 위젯은 존재하지 않음.)
34+
35+
```dart
36+
void main() {
37+
runApp(
38+
const MaterialApp( // 머티리얼 디자인 위젯
39+
home: Scaffold( // Scaffold 위젯
40+
body: SizedBox(
41+
width: double.infinity,
42+
child: Column(
43+
mainAxisAlignment: MainAxisAlignment.center,
44+
children: [
45+
Text('Roo'),
46+
Text('Ryu'),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56+
## 6.2. 위젯 실습용 템플릿 작성
57+
58+
- Create New Flutter Project를 실행했을 때 lib/main에 있는 MyApp() → MyHomePage()에서 content 출력.
59+
- MyApp: root of my application. header나 타이틀 footer 등이 보임.
60+
- MyHomePage: home page of my application. state에 따라 보여줄 컨텐츠를 출력함.
61+
62+
## 6.3. 텍스트 관련 위젯
63+
64+
- 화면에 글자를 보여주기 위한 글자를 렌더링할 수 있는 위젯.
65+
- 플러터는 RichText 위젯과 Paragraph 같은 클래스도 제공함.
66+
- Text 위젯은 글자를 적고 스타일링하는 위젯.
67+
- 첫 번째 포지셔널 파라미터에 원하는 문자열을 작성하고 style이라는 네임드 파라미터를 사용해 스타일을 지정.
68+
69+
```dart
70+
const Text(
71+
'You have pushed the button this many times:',
72+
style: TextStyle(
73+
fontSize: 16.0,
74+
fontWeight: FontWeight.w700,
75+
color: Colors.blue,
76+
),
77+
```
78+
79+
## 6.4. 제스처 관련 위젯
80+
81+
- 사용자가 키보드로 글자를 입력하는 행위 외의 모든 입력을 플러터에서는 제스처라고 부름.
82+
- 예: 화면 한 번/두 번 탭하기, 길게 누르기 등.
83+
- GestureDetector 위젯은 모든 제스처를 매개변수로 제공.
84+
- 제스처 관련 위젯은 하위 위젯에 탭이나 드래그처럼 특정 제스처가 입력됐을 때 인지하고 콜백 함수를 실행.
85+
- Button, IconButton, GestureDetector, FloatingActionButton 위젯 등.
86+
87+
### 6.4.1. Button 위젯
88+
89+
- 플러터 머티리얼 패키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버튼으로 TextButton, OutlinedButton, ElevatedButton(입체적으로 튀어나온 느낌의 배경이 들어간 버튼) 등이 있음.
90+
91+
```dart
92+
ElevatedButton(
93+
// 클릭 시 실행할 함수
94+
onPressed: (){},
95+
// 버튼 스타일링
96+
style: ElevatedButton.styleFrom(
97+
backgroundColor: Colors.lightBlueAccent
98+
),
99+
// 버튼에 들아갈 위젯
100+
child: const Text('버튼')
101+
)
102+
```
103+
104+
### 6.4.3. GestureDetector 위젯
105+
106+
- 앱은 모든 입력을 손가락으로 함. 그래서 손가락으로 하는 여러 가지 입력을 인지하는 위젯이 필요한데 GestureDetector가 바로 그 역할을 함.
107+
108+
```dart
109+
GestureDetector(
110+
// 한 번 탭했을 때 실행할 함수
111+
onTap: () {
112+
// 출력 결과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Run] 탭에서 확인 가능.
113+
print('on tap');
114+
},
115+
// 두 번 탭했을 때 실행할 함수
116+
onDoubleTap: (){
117+
print('on double tab');
118+
},
119+
onLongPress: () {
120+
print('on long press');
121+
},
122+
// 제스처를 적용할 위젯
123+
child: Container(
124+
decoration: const BoxDecoration(
125+
color: Colors.lightBlueAccent,
126+
),
127+
width: 100.0,
128+
height: 100.0,
129+
),
130+
)
131+
```
132+
133+
- onPanStart: 수평 또는 수직으로 드래그가 시작됐을 때 실행되는 함수 입력 가능.
134+
- onPanUpdate: 수평 또는 수직으로 드래그를 하는 동안 드래그 위치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실행되는 함수를 입력할 수 있음.
135+
- onPanEnd: 위의 작업이 끝났을 때 실행되는 함수 입력 가능.
136+
- onHorizontal/VerticalDragStart/Update/End: 수평/수직으로 드래그를 시작/변경/종료될 때 실행되는 함수를 입력 가능
137+
- onScaleStart/update/End: 확대가 시작/변경/종료됐을 때
138+
139+
### 6.4.4. FloatingActionButton 위젯
140+
141+
- FloatingActionButton은 Material Design에서 추구하는 버튼 형태.
142+
- 앱 화면의 오른쪽 아래에 동그란 플로팅 작업 버튼임.
143+
144+
```dart
145+
return Scaffold(
146+
floatingActionButton: FloatingActionButton(
147+
onPressed: () {},
148+
child: const Text('클릭'),
149+
),
150+
// ...
151+
body: Container(),
152+
);
153+
```
154+
155+
## 6.5. 디자인 관련 위젯
156+
157+
- 디자인 관련 위젯은 배경을 추가하거나 간격을 추가하거나 패딩을 추가하는 등 디자인적 요소를 적용할 때 사용.
158+
159+
### 6.5.1. Container 위젯
160+
161+
- Container 위젯은 말 그대로 다른 위젯을 담는 데 사용.
162+
- 위젯의 너비와 높이를 지정하거나, 배경이나 테두리를 추가할 때 주로 사용됨.
163+
164+
```dart
165+
Container(
166+
decoration: BoxDecoration(
167+
color: Colors.lightBlueAccent,
168+
border: Border.all(
169+
width: 16.0,
170+
color: Colors.black,
171+
),
172+
borderRadius: BorderRadius.circular(16.0)
173+
),
174+
width: 100.0,
175+
height: 100.0,
176+
),
177+
```
178+
179+
- Container 위젯은 다른 위젯처럼 child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음.
180+
181+
### 6.5.2. SizedBox 위젯
182+
183+
- SizedBox 위젯은 일반적으로 일정 크기의 공간을 공백으로 두고 싶을 때 사용됨.
184+
- Container 위젯을 사용해도 공백을 만들 수 있지만, SizedBox는 const 생성자를 사용했을 때 퍼포먼스에서 이점을 얻을 수 있음.
185+
186+
```dart
187+
SizedBox(
188+
height: 200.0,
189+
width: 200.0,
190+
child: Container(
191+
color: Colors.red,
192+
),
193+
),
194+
```
195+
196+
### 6.5.3. Padding 위젯
197+
198+
- Padding 위젯은 child 위젯에 여백을 제공.
199+
- Padding 위젯을 사용하면 위젯의 상위 위젯과 하위 위젯 사이의 여백을 둘 수 있음.
200+
- Padding 위젯의 padding 매개변수는 `EdgeInsets`라는 값을 입력해야 함.
201+
- 또한 child 매개변수에 Padding을 적용하고 싶은 위젯을 입력할 수도 있음.
202+
203+
```dart
204+
Container(
205+
color: Colors.blue,
206+
margin: EdgeInsets.all(16.0),
207+
child: Padding(
208+
// 상하, 좌우로 모두 16 픽셀만큼 패딩 적용
209+
padding: const EdgeInsets.all(
210+
16.0,
211+
),
212+
child: Container(
213+
color: Colors.red,
214+
width: 50.0,
215+
height: 50.0,
216+
)
217+
)
218+
)
219+
```
220+
221+
- 패딩은 적용된 위젯이 차지하는 크기 내부에서 간격이 추가됨.
222+
- **플러터에서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위젯의 바깥에 간격을 추가해주는 margin 기능도 있음.
223+
- 다만 margin은 따로 위젯이 존재하지 않고 Container 위젯에 추가할 수 있음.
224+
225+
** margin 보다는 padding 사용하자!
226+
227+
- EdgeInsets 클래스의 다양한 생성자 종류:
228+
- EdgeInsets.all(16.0): 상하좌우로 매개변수에 입력된 패딩을 균등하게 적용.
229+
- EdgeInsets.symmetric(horizontal: 16.0, vertical: 16.0): 가로와 세로 패딩을 따로 적용.
230+
- EdgeInsets.only(top: 16.0, bottom: 16.0, left: 16.0, right: 16.0): 위, 아래, 좌, 우 따로 적용.
231+
- EdgeInsets.fromLTRB(16.0, 16.0, 16.0, 16.0): 위, 아래, 좌, 우 따로 적용 (positional parameter)
232+
233+
### 6.5.4. SafeArea **
234+
235+
- 크기와 디자인 모두 다양한 핸드폰의 사이즈의 위젯 위치 보호 (예: 노치에 가려지는 위젯 보호)
236+
- SafeArea 위젯을 사용하면 따로 기기별로 예외 처리를 하지 않고도 안전한 화면에서만 위젯을 그릴 수 있음.
237+
238+
```dart
239+
SafeArea(
240+
top: true,
241+
bottom: true,
242+
left: true,
243+
right: true,
244+
child: Container(
245+
color: Colors.deepPurpleAccent,
246+
height: 100.0,
247+
width: 100.0,
248+
),
249+
),
250+
```
251+
252+
<img width="365" alt="Screenshot 2024-08-04 at 4 11 27 PM" src="https://github.com/user-attachments/assets/68d62455-1e2a-4d0f-810d-6ec752c0bc6f">
253+

hong/flutter/코드팩도리의 플러터 프로그래밍/학습 계획.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6,7 +6,7 @@
66

77
- [x] 7/27, 28: 3, 4
88

9-
- [ ] 8/3, 4: 5, 6
9+
- [x] 8/3, 4: 5, 6
1010

1111
- [ ] 8/10, 11: 7, 8
1212

0 commit comments

Comments
 (0)